고압가스의 일반적인 분류는 ①취급 시의 상태에 따라 압축가스, 액화가스, 용해가스, ②연소성에 따라 가연성가스, 불연성가스, 지연성가스, ③독성에 따라 독성가스, 비독성가스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기준
| 분류 | 성질 | 예시 |
상태 | 압축가스 |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상온에서 기체상태로 압축되어있는 것으로서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낮아 상온에서 압축해도 액화가 어려워 기체상태로 압축되어있는 가스
| 산소, 수소, 질소, 아르곤, 헬륨 등
|
액화가스 | 가압, 냉각 등의 방법에 의하여 액체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높아 상온에서 압축시키면 비교적 쉽게 액화가 가능하므로 액체상태로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
| 암모니아, 탄산가스, 프로판 등
|
용해가스 | 가스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용제(아세톤 등)를 충진시킨 다공물질에 고압하에서 용해시켜 사용하는 가스 ※ "용해가스"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 "압축가스"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.
| 아세틸렌
|
연소성 | 가연성가스 | 지연성가스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내며 연소하는 가스로서 폭발한계의 하한이 10% 이하인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% 이상인 가스 ※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1항 1호에 가연성가스에 대하여 명시되어 있습니다.
| 수소, 프로판, 암모니아, 메탄, 아세틸렌 등
|
불연성가스 | 스스로 연소하지도 못하고 다른 물질을 연소시키는 성질도 갖지 않는 가스
| 질소, 헬륨, 아르곤 등
|
지연성가스 | 조연성가스라고도 하며 가연성가스의 연소를 돕는 가스
| 산소, 염소, 공기 등
|
독성 | 독성가스 | ※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1항 2호에 독성가스에 대하여 명시되어 있습니다.
| 염소, 암모니아, 산화에틸렌, 포스겐 등
|
※ 허용농도 : 성숙한 흰쥐 집단에게 대기중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하여 노출시킨 경우 14일 이내에 그 흰쥐의 2분의 1이상이 죽게되는 가스의 농도
|
비독성가스 | 독성 이외의 가스
| 산소, 질소, 수소 등
|
기타 | 부식성가스 | 물질을 부식시키는 특성을 가진 가스
| 아황산가스, 염소, 암모니아, 황화수소 등
|
불활성가스 |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힘든가스 ※ 좁은 의미로는 비활성기체 즉, 0족원소를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화학반응성이 낮은 질소 등 안정성이 높은 기체도 포함됩니다.
| 질소, 헬륨, 아르곤, 네온 등
|
※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[산업통상자원부령 제268호]
자료의 저작권은 제성진흥주식회사에게 있습니다. 제성진흥주식회사의 허가 없이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 내용을 복제, 수정, 전재 하는 것은 저작권법상 금지되어 있으며, 무단 복제 및 도용시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본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는 당사에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.
고압가스의 일반적인 분류는 ①취급 시의 상태에 따라 압축가스, 액화가스, 용해가스, ②연소성에 따라 가연성가스, 불연성가스, 지연성가스, ③독성에 따라 독성가스, 비독성가스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※ "용해가스"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 "압축가스"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.
※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1항 1호에 가연성가스에 대하여 명시되어 있습니다.
※ 좁은 의미로는 비활성기체 즉, 0족원소를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화학반응성이 낮은 질소 등 안정성이 높은 기체도 포함됩니다.
※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[산업통상자원부령 제268호]
자료의 저작권은 제성진흥주식회사에게 있습니다. 제성진흥주식회사의 허가 없이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 내용을 복제, 수정, 전재 하는 것은 저작권법상 금지되어 있으며, 무단 복제 및 도용시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본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는 당사에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.